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

CRISPR/Cas9 기반 DND1 유전자 변이를 통한 토마토의 흰가루병 저항성 향상 – 논문 리뷰

이번 리뷰에서는 2024년 BMC Plant Biology에 발표된 Ruiling Li 외 연구진의 논문 "Less is more: CRISPR/Cas9-based mutations in DND1 gene enhance tomato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with low fitness costs"를 다룬다. 본 논문은 토마토 작물에서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유발하는 흰가루병(Powdery Mildew, PM)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한 유전자 편집 전략을 제시한다. 연구진은 식물의 병원균 감수성 유전자(susceptibility gene, S-gene) 중 하나인 DND1의 기능을 약화시키거나 제거함으로써 토마토의 병 저항성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DND1 유전자 결실은.. 카테고리 없음 2025. 5. 5.

Targeting the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genome with the CRISPR-Cas9 platform in latently infected cells - 잠복 감염 상태의 바이러스 유전체를 정조준하다

이번 리뷰에서는 Haddad et al.이 2021년에 발표한 논문 “Targeting the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genome with the CRISPR-Cas9 platform in latently infected cells”를 다룹니다. 이 연구는 CRISPR-Cas9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 중 하나인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KSHV)를 표적으로 하여, 잠복 감염 상태의 바이러스 유전체를 정밀하게 타겟팅하고 그 영향을 분석한 것입니다. 연구진은 SLK 세포에서 Cas9을 발현시키고, BAC16 기반의 형광 표지된 KSHV를 감염시킨 뒤, 특정 바이러스 유전자에 대응하는 sgRNA를 도.. 카테고리 없음 2025. 5. 4.

Compact CRISPR genetic screens enabled by improved guide RNA library cloning - 논문 리뷰

이 논문은 대규모 유전자 기능 분석을 위한 CRISPR 스크리닝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가이드 RNA 라이브러리 클로닝 프로토콜을 최적화한 연구를 다룹니다. 연구팀은 기존 CRISPRi 및 CRISPRa 라이브러리의 편향(bias)을 줄이고 가이드의 균일도를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 적은 수의 세포만으로도 고품질 스크리닝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에는 어려웠던 iPSC 유래 세포, 1차 세포 등 다양한 모델에서의 CRISPR 스크리닝이 가능해졌습니다.연구 배경 및 중요성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수많은 유전자들이 밝혀졌지만, 이들의 기능을 규명하는 일은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CRISPR 기술은 이러한 유전자 기능을 탐색하는 데 혁신적인 도구로 떠올.. 카테고리 없음 2025. 5. 3.

CRISPR/Cas9-targeted mutagenesis of the tomato susceptibility gene PMR4 for resistance against powdery mildew 리뷰

본 리뷰는 BMC Plant Biology에 게재된 논문 “CRISPR/Cas9-targeted mutagenesis of the tomato susceptibility gene PMR4 for resistance against powdery mildew”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CRISPR/Cas9 기술을 활용하여 토마토의 감수성 유전자 PMR4를 정밀하게 돌연변이시켜, Oidium neolycopersici에 의한 흰가루병(powdery mildew)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습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RNA 간섭(RNAi) 기법으로 PMR4를 억제하여 저항성을 일부 증가시킨 사례가 있었지만, 이번 연구는 해당 유전자의 완전한 기능 상실이 더 강한 저항성을 유도할 수 있는지를 검증.. 카테고리 없음 2025. 5. 2.

증폭 없이 장독해(long-read) 시퀀싱으로 밝혀낸 CRISPR-Cas9의 예기치 못한 오프타겟 활성

CRISPR-Cas9 유전체 편집 기술은 생명과학 연구 및 의학 분야에서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았지만, 가이드 RNA(gRNA)의 비특이적인 결합으로 인한 오프타겟(off-target) 돌연변이가 지속적인 우려로 제기되어 왔습니다. 이에 본 논문은 PCR 증폭이 필요 없는 장독해(long-read) 시퀀싱 기술인 SMRT-OTS(PacBio 기반) 및 Nano-OTS(ONT 기반)를 이용하여 gRNA에 의해 유도된 Cas9 절단을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는 두 가지 새로운 방법을 제시합니다. 연구진은 이 기술들을 활용하여 기존 예측 알고리즘으로는 검출되지 않았던 오프타겟 절단 지점을 확인하였으며, 반복 서열이나 GC 함량이 높은 '어두운 유전체 영역(dark genomic regions)'에서도 Cas9 .. 카테고리 없음 2025. 5. 1.